스스로 하는 통역 훈련

최고의 훈련은 물론 실전이죠. 그러나 실전 이전에 최대한 연습을 해야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두 가지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영상물 이용

동영상(영상 없는 오디오도 괜찮음)을 틀어 놓고 문장 단위로 pause시킨 후 통역을 해 보는 겁니다. 의미를 이해한 것과 그것을 실제 다른 언어의 문장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전혀 다릅니다. 에너지가 훨씬 많이 들지요. 머릿속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실제로 발음을 또렷하게 해서 발화해 보십시오. 사실 통역 훈련을 받을 때 수업 외 시간에는 Lab에 가서 계속 이런 연습을 했습니다. 그 때는 오디오였는데 말과 말 사이에 통역할 시간을 삽입해 둔 형태죠. 하지만 개인 컴퓨터에서 얼마든지 pause기능을 이용해서 같은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이용하면 재미도 있고요.

이런 목적으로 쉽게 떠오르는 것이 영화인데, 실은 영화는 말이 너무 빠르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하는 장면도 많아 별로 도움이 못 됩니다. (저는 House라는 드라마를 열심히 봤는데 재미는 있었지만 병원 통역에 별 도움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런 목적으로는 다큐멘터리가 참 좋습니다. 물론 여러분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것이면 더욱 좋고요. 이건 사실 배경 지식을 쌓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통역의 반 이상이거든요.

텍스트 이용

해당 분야의 텍스트를 앞에 두고 훈련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한 문장 읽고 그것을 소리내어 통역을 해 보십시오. 그리고 그 말을 듣는 당사자가 그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지 늘 신경을 쓰면서요. 이것도 실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저는 통역을 한참 할 때는 이걸 늘 했습니다. 잠시 자투리 시간이 남으면 뭐든지 눈에 띄는 것을 다 통역해 보았습니다. 에너지가 꽤 드는 일이라 오래는 못 합니다. 그러나 시간 날 때 5분씩이라도 해 보십시오. 손에 영어 텍스트가 있으면 한 문장씩 한국어로, 손에 한국어 텍스트가 있으면 한 문장씩 영어로 말해 보는 겁니다. 실은 이런 형태는 연습 때뿐만 아니라 실제 통역할 때도 쓰입니다. 병원에서 screening questionnaire나 수술 동의서 등을 환자가 미리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문서를 보고 손으로 짚어가며 그 뜻을 말하게 되지요. 이렇게 하는 것을 sight interpretation이라고 합니다. 이것만 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병원에서는 꽤 자주 이런 일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훈련을 하면 통역의 기초 체력이 길러집니다. 통역의 힘은 그 누구도 나에게 주지 않습니다. 스스로 기르는 겁니다.

Bryan
Bryan

브라이언은 의료분야에서 한영번역을 하는 번역가입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아내와 둘이 삽니다. 여행과 독서와 음악과 커피를 좋아합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댓글은 모든 사람이 볼 수 있습니다).

행복한 번역가